반응형
아스피린을 매일 복용하면 위암 환자들의 수명이 연장된다는 사실이 네덜란드 의사들의 연구진에 의해 밝혀졌다.
레이든 대학교 메디컬 센터의 연구 발표에 따르면, 통증 완화제인 아스피린이 종양 세포가 면역 체계로부터 이탈하지 못 하게 함으로써 환자가 병에 맞서 싸울 수 있도록 하는 “마술의 탄환”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아스피린이 저렴하고 상대적으로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특허 유효 기간이 종료된 약품이라는 점을 가정하면, 이것은 환자에게 뿐만 아니라 의료보건 체계에 대단한 충격일 수 있다”고 재판 관련 코디네이터인 마르티네 프라우즈씨가 주장했다.
병원 측은 식도, 위, 결장 또는 직장에 종양이 있는 대략 14,000명의 환자가 재판에 참여했다고 한다.
매일 아스피린을 복용한 환자들 중 5년이 지난 후까지도 생존한 확률은 75% 이었으며, 이에 비해서 아스피린을 복용하지 않은 환자의 5년 후 생존율은 단지 42% 이었다.
john@coconutpalms.info
사진 = 픽사베이
반응형
'사이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화로 인한 시력을 줄기세포로 치료의 길이 열리다. (0) | 2016.12.19 |
---|---|
뇌의 편도체가 공포를 제어한다. (0) | 2016.12.19 |
스트레스가 아이의 뇌에 미치는 영향 (0) | 2016.12.19 |
뇌 안에는 기쁨을 만드는 회로가 있다. (0) | 2016.12.19 |
다른 사람이 생각하는 것을 뇌에 직접 전달하는 데 성공하다. (0) | 2016.12.19 |
WRITTEN BY
- 코코넛 팜스
과학 오피니언 블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