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이번의 코로나 사태가 초래한 스트레스나 불안이 상당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스트레스에 연구한 캐나다의 생리학자 한스 셀리에(Hans Seiye, 1907~1982)는 스트레스의 원인이 되는 자극을 스트레서'라고 하고, ‘스트레서’로 우발되는 심신의 반응을 스트레스 반응'이다. 스트레스 반응은 기분의 저하, 의욕 상실 등 우울증 같은 증상부터 불면, 식욕 부진 등의 신체 증상까지 여러 갈래에 걸쳐 나타난다. 가니에 박사에 따르면, 코로나 사태에서는 환경의 변화로 인한 스트레스로 괴로워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한다.
새로운 환경에 전향적으로 적응하기가 아무래도 어렵다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가니에 박사는 “변화를 피하는 것은 인간의 본능이기도 하며, 반드시 나쁜 것이라고는 할 수 없다. 그런 경우라도 사고방식을 올바로 전환하거나 기분 전환을 함으로써 스트레스를 줄일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적당한 불안감을 갖는 것은 중요하다.
![](https://blog.kakaocdn.net/dn/4gOQe/btrNwCwV0Bw/QfzZqLeRWK3HkI04dykN21/img.jpg)
불안이라는 감정도 정신 건강을 교란시키는 원인이 된다. 코로나 사태에서는 감염에 대한 불안에 덧붙여 '나의 생활이나 사회가 앞으로 어떻게 될까?'라는 식으로, 장래에 대해 불안을 느끼는 사람이 많다고 한다. 단, 불안이나 공포라는 감정은 우리가 자기 목숨을 지키기 위해 빼놓을 수 없는 능력이기도 하다. 만약 우리가 코로나에 대해 불안이나 공포를 안고 있지 않으면 감염은 폭발적으로 퍼질 것이다. 불안 그 자체를 없애는 것이 아니라 불안이 지나치게 과잉되지 않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오랫동안 스트레스에 계속 노출되면 정신 질환이 생길 수 있다. 그래서 스트레스에 올바로 대처하는 일이 중요하다.
스트레스에 대처하기 위한 행동을 '코핑 (coping)'이라고 한다. 코핑에는 두 종류가 있는데, 하나는 '문제 초점화형 코핑'이라고 한다. 이것은 스트레스의 원인(스트레서)에 직접 대처해 스트레스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예컨대 '코로나에 감염될 가능성이 있다.'는 스트레서에 대해서는 손씻기나 양치질을 확실하게 하는 일, 규칙적인 생활과 적당한 운동을 하는 일이 문제 초점화형 코핑의 예라고 할 수 있다.
또 하나의 코핑은 '정동(情動) 초점화형 코핑'이라고 한다. 이것은 스트레서에 의해 발생한 분노나 불안감, 몸의 긴장을 가라앉히는 일이다.
정동 초점화형 코핑에는 ‘갑자기 재택근무를 하게 되어 큰일이지만 그 대신에 느긋하게 아침 식사를 하게 되었다.’ 처럼 문제를 보는 방식이나 발상을 바꾸는 '인지적 재평가형’, 이야기를 들어보는 등의 방법으로 기분을 정리하는 '정동 처리형, 취미 등을 하는 기분 전환형' 등이 있다.
많은 코핑을 가지고 있으면 좋다.
![](https://blog.kakaocdn.net/dn/d8CKuc/btrNwkiZX1q/jaLBsxwu49dKN0ya2VPkR0/img.jpg)
가니에 박사는 “여러 종류의 코핑을 가지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 평소부터 '집 안에서 가능한 것' '밖에서 가능한 것' '혼자서 가능한 것' 많은 사람이 할 수 있는 것' 등 몇 종류의 코핑을 가질 수 있으면 어떤 상황에서도 스트레스가 쌓이지 않을 것이다. 반대로 나에게는 골프만이 유일한 스트레스 해소법 이라는 식의 사람은 주의가 필요하다."라고 말한다.
하라다 교수도 “예컨대 스트레스 해소가 될 것 같은 방법을 100개 적어 보자. 그 가운데서 가능한 것을 시도해 보고, 자신에게 맞는 코핑으로 범위를 좁혀 가면 좋을 것이다.”라고 말했다.
또, “스트레스나 불안감을 인정하고 싶지 않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을지 모르지만, 코로나 사태 같은 비상사태에서 스트레스를 느끼는 것은 사람으로서 자연스러운 일이다. 자신의 스트레스를 받아들이고 적절한 코핑을 하는 일이 중요하다.”고 한다.
출처: 뉴턴 2021.01
반응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약에 내일이 삶의 마지막이라고 한다면? (0) | 2023.02.20 |
---|---|
심장은 곧 마음 - 네 마음을 보여줘! (0) | 2023.01.18 |
분노 조절 장애의 원인과 치료 (0) | 2022.09.05 |
사랑의 결여, 사랑에는 편견이 없다. (0) | 2022.08.04 |
과학적 진보, 윤리적 문제에 대한 정의 (0) | 2022.06.16 |
WRITTEN BY
- 코코넛 팜스
과학 오피니언 블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