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치료와 벡 이론

교육 2017. 2. 24. 08:35
반응형

인지(cognition)란 일반적으로 사고 능력을 일컫는다. 사고 외에도 지각, 기억, 지능, 언어 등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인지이론이란 인간의 지적 능력뿐만 아니라 인간의 사고, 태도, 동기 등 클라이언트의 왜곡된 인지 구조를 새로운 인지구조로 재구성하여 문제해결을 돕는 이론이다.


인지치료는 사고의 정서를 좌우할 수 있다는 이론에 근거를 둔 치료법으로 1960년대에 미국 Pennsylvania 대학의 Aaron T. Beck에 의해 개발되었다.


처음에는 주로 우울증 치료법으로 개발되었으나, 그 효과가 인정되어 체계적으로 많은 연구를 통하여 정교화되면서 적용범위가 확장되었다.


또한 엘리스가 잘못된 신념을 반박하고 합리적인 신념으로 바꾸는 합리적-정서치료 모델을 제시하면서 구체적으로 실천이론으로 자리 잡게 되었다. 벡과 엘리스는 인지치료와 더불어 행동치료를 병행하여야 할 때 더욱 효과적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는데, 이것을 인지행동치료라고 부른다.


최근에 인지치료는 우울증뿐 아니라 정신장애, 불안장애, 공포증, 강박증, 건강염려증, 식사장애, 성격문제, 부부갈등 등 다양한 심리적 문제에 적용되고 있으며, 연구와 치료과정에서 지속적으로 치료기법이 발전되고 있어 치료 효과도 검증되었다.


저명한 심리치료자인 Korchin에 따르면, 현재 전 세계적으로 약 400여개의 심리치료이론이 있으며, 이 중에서 많은 치료자에 의해 선호되고 있는 주요 이론만도 10여 가지에 이른다.


다양한 심리치료이론과 방법들은 각기 독특한 장단점을 지니고 있어서 우열을 가리기는 매우 어렵다. 하지만 인지치료는 이 중에서도 가장 주목받는 치료법이며, 충실한 이론과 경험이 입증된 치료 효과에 힘입어 빠른 발전을 보이는 대표적인 치료 이론의 하나이다.



벡(Aaron T. Beck)의 인지치료 이론

잘못된 정보를 수정하기 위해 벡의 인지치료 방법을 이용한다. 클라이언트가 보다 건설적이고 목표지향적인 활동에 참여시켜 자신의 능력에 대한 부정적이고 파괴적인 추론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키도록 유도한다.


특히 유용하지 못한 사고적 감정과 행동에 대해 왜곡된 생각을 수정하거나 합리적인 대안을 모색하여 반복치료를 통해 접근 유도하여 치료하는 것이 벡 이론이다.


벡 이론은 자동적 사고, 도식, 잘못된 정보처리로 나뉜다. 먼저 자동적 사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1. 자동적 사고
    한 개인이 어떤 상황에서 즉각적이고 자발적으로 드는 평가를 의미하는데, 대개 그 순간 느껴지는 감정을 말한다.
     
  2. 도식
    특성 자극에 대해서만 주의를 기울여 반응하게 되는 것을 말한다. 비교적 안정적인 인지패턴으로 유사한 상황을 일정하게 해석하는 경향이 있다. 예를 들어 개는 무섭다. 뱀은 징그럽다 정도로 해석해 버린다.

    여기서 핵심믿음과 중간믿음으로 다시 나뉘는데, ‘핵심믿음’은 절대적인 진리로 받아들이는 믿음을 말하고, ‘핵심믿음’과 ‘자동적 사고’ 사이의 믿음을 중간믿음이라 한다.
     
  3. 잘못된 정보처리
    잘못된 정보처리는 다음과 같은 정보처리에 오류가 있어 자신의 생각이 잘못된 것이라는 증거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자신이 생각한 것이 옳다고 믿는 것이다.

    예를 들어 의사의 갸우뚱 하는 모습을 보고, 불치의 병에 결렸다고 임의적으로 추론하거나 타인으로부터 긍정적 평가와 부정적 평가를 같이 받았을 때, 부정적 평가에만 초점을 맞추는 경우, 아니면 남편이 회사에서 너무 바빠 미처 전화하지 못했다는 말 한마디에, 이제는 사랑이 식어버렸다는 결론을 내어 버린다.

    또 위궤양이라는 진단을 받자 위암이라고 결론 내린다든지, 역으로 암이라는 진단을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그럴 리 없다고 생각하여 위궤양 정도로 생각하는 것이다.



john@coconutpalms.info

사진 = 픽사베이


반응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멍 때리기 - 스트레스로부터 현대인의 뇌를 지켜라  (0) 2018.01.04
유언비어 : 보이지 않는 유리벽  (0) 2017.08.02
행동주의적 이론  (0) 2016.12.19
인간의 욕구  (0) 2016.12.19
아동 인지발달 과정  (0) 2016.12.19

WRITTEN BY
코코넛 팜스
과학 오피니언 블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