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의 욕구

교육 2016. 12. 19. 18:55
반응형

woman-383142_640마슬로우의 욕구 이론은 1943년에 처음 소개되어 인간의 욕구와 동기부여에 대한 이론으로 오늘날 가장 널리 알려져 있는 이론이다.

마슬로우는 인간의 자연적인 본성인 자아실현에 대한 욕구를 강조하면서 인간에게 동기를 부여할 수 있는 욕구가 계층을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 분석적 접근과 행동주의적 접근에 대한 최초의 대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1950년 미국의 심리학자인 에이브라함 마슬로우와 칼 로저스 (Carl Rogers)는 인간에게는 자유 의지가 있으며 무의식적인 동기와 주변 환경에 의해 변화되는 존재가 아니라는 생각을 발전시켰다.

경험을 바탕으로 하는 인본주의 심리학의 가정은 각 개인은 자유 의지를 가지고 있고, 실존주의 심리학과의 유사성을 보여주고 있는데, 마슬로우는 인간의 욕구는 단계적으로 하위 수준의 욕구인 생리적 욕구, 안전의 욕구, 애정 및 소속감의 욕구, 존중의 욕구, 자아실현의 욕구 등 5단계로 나뉘어져 있다는 논리를 강조하고 있다.

이 논리대로라면 인간의 욕구체계는 매우 복잡하지만 일단 만족된 욕구는 더 이상 동기부여요인이 아니며 상위수준의 욕구가 한 개인의 행동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일단 하위수준의 욕구가 우선적으로 충족되면, 그 다음 상위수준의 욕구를 채우려 할 것이다.


1 단계 : 생리적 욕구(Physiological Needs)

욕구 단계의 첫 번째 단계는 개인이 살아가기 위한 가장 기본이 되는 욕구로 물, 음식, 수면 등의 생리적 욕구가 충족되지 않으면 상위 단계의 욕구 모습은 나타나지 않는다.

경제적 여력이 없어 빵 한 조각 살돈이 없다면 굶주린 배를 채우기 위한 것이 인생의 전부가 될 것이고, 안전이나 애정, 소속감, 나아가 자기개발이나 자아충족 등을 생각할 수 없을 것이다. 그들에게는 따뜻한 거주지가 우선적으로 충족되어야 한다.


2 단계 : 안전의 욕구(Safety Needs)

생리욕구가 충족이 되면 다음 단계인 안전 욕구를 생각하게 될 것이다. “어떤 사람이 극도로, 또 상시적으로 안전을 추구한다면 그런 인물이야말로 안전만을 위해서 삶을 영위한다고 할 수 있다”고 말한 마슬로우는 신체적, 정신적 위험이나 불안이나 두려움으로부터 보호되고 안전해지기를 바라는 자기보존의 욕구로 타인을 통해 욕구가 충족된다.


3 단계 : 애정 및 소속감의 욕구(Belongingness And Love Needs)

사회적 존재감이나 인간관계, 즉 집단을 만들어 타인과 어울리거나 교류하거나 정을 나누기를 원하는 욕구로 친분, 우정, 소속감 등에 관심을 갖는다. 인간은 사회적인 존재이므로 어디에 소속되거나 자신이 다른 집단에 의해서 받아들여지기를 원하고 동료와 친교를 나누고 싶어 하고 또는 교제나 결혼을 원하게 된다.


4 단계 : 존중의 욕구(Esteem Needs)

집단의 소속감에서 구성원으로서 타인으로부터 존중을 받거나 인정받기를 원하는 욕구로 자존, 자율, 성취, 지위, 신분 등을 포함한다. 내적으로 자존이나 자율을 성취하려는 욕구 및 외적으로 타인으로부터 주의를 받고, 인정을 받으며, 집단 내에서 어떤 지위를 확보하려는 욕구가 나타난다.


5 단계 : 자아실현의 욕구(Self-Actualization Needs)

suit-673697_640다음에는 “나의 능력을 발휘하고 싶어”, “자기계발을 계속하고 싶어“라는 자신의 재능과 잠재력을 충분히 발휘해서 자기가 이룰 수 있는 모든 것을 성취하고자 하는 자아실현욕구가 강력하게 나타난다.

계속적인 자기발전을 통하여 성장하고, 잠재력 실현 및 창조, 자기개발을 극대화하여 자아를 완성시키려는 욕구이다.

마슬로우 이론에서 사람은 일단 생리적 욕구가 충족이 되면 그 다음엔 심리적 육체적 안전을 생각하게 되고, 그 다음으론 사회적 욕구를 채우기를 원하게 되므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게 되는 순차적 단계를 밟는데, 문제는 어느 한 단계가 결핍이 되면 그 결핍된 부분을 채우기 위해 균형이 무너져 버려 결핍욕구(Deficiency Needs)가 나타난다고 보고 있다.

예를 들면, 굶주림에 지친 사람이 살기 위해(1단계) 남의 것을 훔치는가 하면 비굴해 지기도 하고, 자신의 이익을 위해 주변이나 친구, 동료의 배신을(3단계) 생각해 볼 수 있을 것이다.

만일 해고의 위험에 처해 있다면(3단계) 그 사람은 집단에서의 소속을 위해 자기만족이나 자긍심을 버려가면서까지(5단계) 유지하려고 할 것이다.

예를 하나 더 든다면, 집단이나 단체의 책임자가 개인에게 신상의 위협을 한다면, 이들은 곧바로 이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감정이나 행동을(3단계) 보이게 되는데, 자기실현이나, 사회적인 관계 따위의 욕망은(5단계) 모두 접은 채 자신이 닥친 위협, 소속단체에서 결핍된 욕구를 채우기 위해(3단계) 모든 수단과 방법을 취하게 될 것이다.

반대로 개인이 집단에서 심리적인 안정감과 함께 다른 소속인 들과의 인간적인 유대감, 그리고 자긍심까지 쌓을 수 있다면(5단계) 이 사람은 집단에서 자기실현을 위해 노력하게 될 것이다.

결국은 이렇게 자신의 모든 가능성을 발휘하기 위해 노력하기 위해선 다른 하위 욕구들이 모두 충족되어야 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마슬로우는 사람이 자기실현의 단계에 들어서기 위해선 먼저 하위수준의 단계에 있는 기본적 욕구들이 충족되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굶주렸으면 배를 채우고, 자신의 위치가 위험하다 생각이 들면 안전한 곳을 찾게 된다. 그리고 외롭다거나 자신감, 자긍심이 부족하다고 느낀다면, 상위수준의 단계를 생각하기보다는, 먼저 하위수준에 대한 욕구를 모두 충족시킨 후에야 상위욕구를 찾는다는 설명인데, 생리욕구가 자아실현욕구보다 먼저일수는 없다는 설명이다.
  

 john@coconutpalms.info
사진 = 픽사베이


반응형

'교육'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인지치료와 벡 이론  (0) 2017.02.24
행동주의적 이론  (0) 2016.12.19
아동 인지발달 과정  (0) 2016.12.19
아동 인지발달 : 사회문화적 이론  (0) 2016.12.19
방어기제 : 병들어 가는 사회  (0) 2016.12.19

WRITTEN BY
코코넛 팜스
과학 오피니언 블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