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신이 하루 종일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느끼는 사람이 많을 것이다. 현대 생활에서 스마트폰은 생활에 없어서는 안 되는 도구가 되었다. 그러나 지나친 스마트폰 사용으로 인해 생활의 밤낮이 바뀌거나 일이 손에 잡히지 않거나 학교 성적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한다면 '스마트폰 과의존'이 염려된다.
 
한국에서 만 3세~69세 스마트폰(인터넷) 이용자를 대상으로 표준화된 스마트폰 과의존 척도를 활용하여 스마트폰과 의존 위험군 비율을 산출한 한 연구에 따르면, 2020년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은 23.3%였다. 스마트폰 사용자 10명 중 약 2명이 과의존 위험군이라는 계산이다. 특 히 만 10세~19세 청소년의 스마트폰과 의존 위험군 비율은 35.8%로, 다른 연령에 비해 높았다. 청소년의 경우 10명 중 4 명에 가까운 청소년이 스마트폰 과의존 위험군이라는 계산이다.
 
 

도파민에 의한 쾌락을 찾아 행동을 반복한다

스마트폰 과의존에도 다양한 요인이 있다. 온라인 게임에 빠져 있는 사람, SNS 보기를 그만둘 수 없는 사람, 계속 동영상을 보는 사람 등, 그 의존 대상은 다양하다.
 
무엇인가에 의존하게 되면 뇌의 '보상계'라는 신경회로가 작동한다. 노력해서 성취감을 얻거나 칭찬을 받았을 때, 사람의 뇌에서는 '도파민'이 방출되어 쾌락을 느낀다, SNS에서 '좋아요'를 받는 행위 등은 간단하게 성취감을 제공한다.
 
성취감을 얻기 위해 계속 게임을 함으로써 그 행위와 쾌락이 연결되는 '학습이 이루어진다. 그렇게 되면, 쾌락을 얻기 위해 게임이나 SNS를 그만둘 수 없다. 뇌가 쾌락에 익숙해지면, 쾌락을 찾아 점점 의존도가 커진다. 그 메커니즘은 약물의존이나 알코올 의존과 같다. 쾌락을 찾아 행동을 반복해, 뇌에서 도파민이 과도하게 방출되는 상태가 계속되면, 그것을 억제하는 역할을 하는 세로토닌이 제대로 작동하지 않는다. 그로 인해 초조하고 불안정한 상태가 되는 것이다.
 
 

스마트폰을 보는 것은 스트레스에서 도피하는 행동일수도

생활에 심각한 영향을 미칠 정도로 의존하는 경우에는 정신과 진료를 받아야한다. 과의존 상태에 빠졌다면 자신의 의지만으로는 개선할 수 없다.
 
스마트폰을 아무런 생각 없이 장시간 들고 사는 사람 중에는 그것이 도피 행동인 경우도 있다. 그런 경우에는 게임의 스릴과 성취감이라는 자극을 찾는 것이 아니라고 한다. 예를 들어 두 시간이나 스마트폰을 봤지만, 무엇을 했는지 기억나지 않는다거나 동영상을 보고 있었지만 즐겁지 않다고 할 때, 그것은 무엇인가의 스트레스에서 벗어나, 정신적 충격을 방어하기 위한 반응일 수 있는 것이다.
 

 

palms@ coconutpalms.info
반응형

WRITTEN BY
코코넛 팜스
과학 오피니언 블로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