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HO는 체중 감량이나 성인병 예방을 위한 인공 감미료 사용을 권장하지 않는다고 발표했다. 제로 칼로리나 저칼로리를 내세우는 많은 다이어트 식품에 인공 감미료가 사용된다. 2023년 5월, 세계보건기구(WHO)에서는 인공 감미료를 포함한 '비당질계 감미료'의 사용에 관한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발표했다. 지금까지의 연구를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비당질계 감미료를 장기간 섭취했을 경우 체중 감소 효과는 보이지 않고 당뇨병이나 뇌경색 등의 질병 위험이 상승했다고 한다.
 
다이어트나 체중 유지를 위해 칼로리 제로의 인공 감미료를 사용한 음료와 식품을 선택하는 사람이 많다. 인공 감미료 같은 식품 첨가물은 그 사용에 앞서 독성 시험이 이루어져 안전성은 확인되었다.
 
그러나 '인공 감미료가 장기적으로 볼 때 체중 관리에 유효한가 아닌가'나 '장기간에 걸쳐 인공 감미료를 섭취하는 것이 건강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까?'라는 점에 대해 전문가들 사이에 일치된 의견이 없었다. 그래서 WHO에서는 지금까지 발표된 인공 감미료를 포함한 '비당질계 감미료(비탄수화물계 감미료)'에 관한 여러 연구를 체계적으로 조사해 새로운 가이드라인을 책정 했다.
 
 

체중 감소 효과는 보이지 않고 질병 위험이 상승한다.

비당질계 감미료는 설탕의 수백 배라는 강한 단맛을 지녀 설탕의 대체품으로 이용되고 있다. 먹으면 단맛을 느끼지만 몸속에서 분해되지 않고 그대로 몸 밖으로 배출된다. 에너지원으로 몸에 흡수되는 일이 없기 때문에 칼로리는 거의 없다는 것이다.
 
비당질계 감미료는 두 종류로 나뉜다. 식물에서 정제되는 '스테비아(stevia)' 같은 천연 감미료와, 화학 합성으로 제조하는 '아스파탐(aspartame)', '아세설팜칼륨(acesulfame potassium)', '수크랄로스(sucralose)' 같은 인공 감미료이다.
 
WHO에서는 비당질계 감미료 전반에 대해 섭취했을 때의 건강에 대한 영향을 평가한 연구 283건을 조사·분석했다. 인공 감미료는 치아 연마분이나 양칫물약 등에도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식품만 대상으로 했다.
 
WHO에서는 분석 결과를 정리해 "체중 관리나 (성인병 등의) 비감염성 질환의 위험을 낮추는 수단으로서 비당질계 감미료를 사용하지 않는 것을 권장한다"는 가이드라인을 2023년 5월 발표했다(단 당뇨병 환자를 제외). 왜 이런 결론을 내린 것일까?
 
그것은 이번에 비당질계 감미료와 건강 사이의 관계가 밝혀졌기 때문이다.
 
첫째는 체중과의 관계이다. 이미 발표된 연구 데이터를 바탕으로 비당질계 감미료 섭취와 체중, BMI의 변화를 조사했다. BMI란 비만 정도를 판정하는 국제적인 지표로, '체중(kg)÷키(m)'으로 산출한다. 한국에서는 수치가 25 이상, WHO의 기준으로는 30 이상인 경우 비만이라고 판단된다. 3개월 이내의 단기 실험에서는 비당질계 감미료의 섭취로 체중과 BMI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6개월부터 18개월에 이르는 장기 실험에서는 체중을 줄이는 효과가 없었다. 오히려 BMI가 상승해 비만 정도를 높였다. 비당질계 감미료를 이용해도 장기적인 체중 감량 효과는 없었던 것이다.
 
또 하나는 질병 위험과의 관계이다. 분석 결과 장기간에 걸쳐 비당질계 감미료를 이용했을 경우 뇌경색 등 뇌혈관 장애와 2형 당뇨병 증상이 나타날 위험이 20~30% 높아지는 결과가 나왔다. 조사된 연구는 모두 비당질계 감미료 섭취량이 1일당 허용 섭취량 이내로 억제되어 있었다. 그래서 위험의 상승은 비정상적인 대량 섭취로 인해 일어나는 것은 아니라고 추정된다.
 
비당질계 감미료의 이용이 성인병 예방으로 이어지기는커녕 오히려 위험을 높이는 것이 알려진 셈이다.
 
 

장내 세균이 질병 위험 상승에 관여할 가능성

그러면 인공 감미료가 질병 위험을 상승시키는 것은 무엇 때문일까? 인공 감미료는 몸에 흡수되지 않고 대부분 그대로 배출되기 때문에 몸에 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을 것으로 생각된다.
 
질병 위험이 상승하는 메커니즘은 확실하게는 밝혀지지 않았다. 한편 당뇨병이나 비만 메커니즘에 정통한 일본 총합건강검진추진센터장 미야자키 시게루(宮崎滋) 의사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인공 감미료는 소화되지 않고 장까지 이르러 장내 세균에 어떤 영향을 줄 것이라고 생각된다. 그것을 계기로 생긴 몸의 반응이 정상적인 혈당 제어를 할 수 없게 되는 내당능장애나 동맥경화, 혈관 이상 등의 증상으로 나타난다고 생각된다."
 
장내 세균의 종류와 비율은 사람에 따라 다르다. 게다가 사람마다 나타나는 반응이 달라 심혈관 질환이 일어나는 사람도 있는가 하면 당뇨병이 되는 사람도 있을 수 있다.
 
먹어서 달다고 느끼는 인공 감미료는 혀에 있는 '단맛' 센서를 자극한다. 원래는 그 자극에 의해 소화 기관 등에서는 당분을 흡수할 준비를 한다. 자극에 의한 이 일련의 반응이 당의 섭취에 영향을 미쳐 당뇨병 등의 위험을 상승시킨다는 가설도 있다. 그 밖에도 몇 가지 가설이 존재하는데, 여러 요인이 겹쳐 있을 가능성도 있다. 비당질계 감미료에 대한 연구는 최근에 증가하고 있어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완전한 메커니즘이 밝혀질 것으로 기대된다. WHO 에서는 앞으로의 연구 결과를 받아들여 가이드라인이 변경될 가능성도 있다고 한다.
 
 

저칼로리에 의존하지 않는 적절한 영양 섭취가 기본

WHO에서는 인공 감미료 이외의 설탕 대제품을 찾을 것이 아니라 자연적인 당분을 함유한 과일이나 단맛이 없는 식품, 음료 등을 섭취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저칼로리라고 해서 안이하게 인공 감미료에 의존할 것이 아니라, 적절한 영양과 에너지 섭취에 주의를 기울이는 것이 체중 감량이나 유지에 중요하다는 것이다.
 
WHO의 새 지침은 감미료가 건강에 이롭지도 않지만 해롭지도 않다는 이전 연구들 보다 감미료에 좀 더 부정적이라는 점에서 주목된다. 감미료 업계, 저칼로리 식품 산업계는 WHO의 권고안에 반대한다는 성명을 발표했다. 또 전문가들 사이에서도 아직은 의견이 엇갈리는 입장이다.
 

 

출처: 뉴턴 2023-08
반응형

WRITTEN BY
코코넛 팜스
과학 오피니언 블로그

,